본문 바로가기

책을통해 세상을 보다310

클로스 아머와 레더 아머 종류와 차이, 특징 (소프트레더아머, 하드레더아머 포함) 클로스 아머와 레더 아머에는 종류가 있는가 천 갑옷은 금속 갑옷의 내갑의로서 많이 쓰였다. 금속 갑옷을 맨몸에 직접 입으면 상처가 나기 쉬우므로, 어차피 덧입을 바에는 속옷을 방어구 화하자는 발상이었을 것이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 위 블로그 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중세 라운드 실드 와 야만족 방패 + 켈트인/게르만인/갈리아인의 차이 방어구의 기원, 원조(방어구와 원거리 무기의관계, 방어구의 발전 계기, 크로스보우) 철은 왜 최강의 소재가 됬을까? (강철 단조 방어구, 제철 기술의 진화) 가죽 갑옷이라도 고급품은 좋다? 천 갑옷='클로스 아머'류는 고대부터 각지에서 사용되었을 테지만, 너무 오래되어 흔적 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자세히는 알 수 없다. 적어도 고대 로마에서.. 2022. 1. 26.
브리건딘(밴디드 아머) 가장 많이 보급된 방어구 브리건딘은 가장 많이 보급된 방어구 브리건딘과 코트 오브 플레이츠는 동종 방어구로 간주되지만, 굳이 분류하자면 브리건딘은 보다 몸에 꼭 맞는 동체 갑옷이라 할 수 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 위 블로그 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코트 오브 플레이트(트랜지셔널 아머, 판금 코트)의 역사와 특성 고대 로마 갑옷의 종류와 특징 (펙토랄레, 로리카, 로리 카 라멜라, 로리 카 스콰마타) 그리스 시대 갑옷 종류와 투구(기원전 8세기 청동 갑옷과 투구) 플레이츠보다 세련되어 애용된 전통 방어구 14-17세기 사이 영국·독일·이탈리아 등에서 유행한 장갑(甲) 조끼인 브리건딘 혹은 브리 건 다인은 서양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방어구라 일컬어진다. 플레이트 아머와 같은 고성능 갑옷이 등장한 후에.. 2022. 1. 26.
코트 오브 플레이트(트랜지셔널 아머, 판금 코트)의 역사와 특성 코트 오브 플레이츠란 어떤 방어구 판금 코트라고도 번역할 만하지만 글자에서 상상되는 이미지와 달리 기장이 짧은 것도 많았다. 전장에서는 조끼형이 더 실용적일지 모른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로마 검투사들의 방어구 와 검투사 양성소, 투기장 고대 로마의 부위 방어구(마니카, 그레아베) 고대 그리스 투구 와 방어구들 (+ 정강이받이) 체인 메일에서 진화한 편리한 방어구 중세 갑옷 가운데서도 플레이트 아머가 등장하기 이전 12-14세기의 방어구에 코트 오브 플레이트가 있었다. 줄여서 '플레이츠'라고도 불리며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 널리 보급되었다. 이른바 '관급 달린 코트'라는 것은 서양의 독자적인 표현으로서, 비슷한 구조를 가진 방 어구가.. 2022. 1. 26.
고대 켈트족 방어구 (방패와 투구이외의 방어구) 고대 켈트인은 방패와 투구 이외의 방어구 중세 유럽이라는 시대에는 찬란한 로마에서 배양된 기술 대부분을 잃어버려, 방어구도 보다 원시적인 것이 보급되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중세 라운드 실드 와 야만족 방패 + 켈트인/게르만인/갈리아인의 차이 로마 최고의 사슬갑옷 로리카 하마타와 마연 체인 메일이란? + 중세 기사를 떠받친 방어구 켈트계 민족의 방어구 갈리아-켈트의 라운드 실드에는 북유럽게와 그리스계의 두 계통이 있다. 바이킹이 애용하던 옛 둥근 방패는 지름 90cm로 약간 대형이며 무게는 1.5~3kg 는 1cm 전후에 포플러제가 많다. 표면은 평평하다. 상반신을 가리는 형태로 사용하고, 약 발에 성공하면 전리품을 방패 위에 얹어 개선하였.. 2022. 1. 26.
스팡겐헬름(독일어: Spangenhelm), 슈팡겐헬름이란 무엇인가 스팡겐헬름, 슈팡겐헬름(Spangenhelm)은 무엇인가? 게르만인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은 투구가 슈팡겐헬륨으로서, 그것은 암흑 시대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로마 중장보병대의 방패 스쿠툼의 특징과 용도 중세 라운드 실드와 야만족 방패 + 켈트인/게르만인/갈리아인의 차이 단순하고도 특징적인 야만족 투구 '슈팡맨헬름'은 프랑크인, 브리튼인 등 게르만 민족에게 널리 사랑받은 투구로, 켈트와 게르만 전사의 주된 방어구 중 하나로서 유명하다. 포탄 같은 실루엣을 가졌는데, 이것은 특히 위에서 내리치는 타격에 강하다. 꼭대기가뾰 족하지 않은 캡형 투구도 존재한다. 투구 본체는 청동판을 짜 맞춰 만든 굵은 테에 리벳으 로.. 2022. 1. 22.
중세 라운드 실드 와 야만족 방패 + 켈트인/게르만인/갈리아인의 차이 갈리아인은 둥근 방패를 애용하였는가 갈리아먼의 영역까지 세력을 뻗친 로마 제국 양자는 치열하게 싸우면서 서로의 문화를 받아 들였고 최종적으로는 동화한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로마 중장보병대의 방패 스쿠툼의 특징과 용도 스케일 아머와 라멜라의 차이점 (중세갑옷 차이점) 방어구의 기원, 원조(방어구와 원거리 무기의관계, 방어구의 발전 계기, 크로스보우) ● 중세 라운드 실드의 원류가 된 야만족 방패 갈리아인의 둥근 방배는 지름 30~100cm로 가지각색이었으나, 50cm 전후가 주류였다. 이만한 크기라면 운반도 편리하다. 무게는 0.5-2kg, 두께는 6-8mm로서 얇은 나무판을 번갈아 적층한 구조이다. 로마의 스쿠툼 등도 같은 구조인데, 목재를.. 2022. 1. 22.
고대 국가들의 병사들과 방어구(에퀴테스, 하스타티와 프린키페스, 트리아리아, 벨리테스, 알라) 고대 병사들과 방어구 예로부터 넓은 지역을 지배하던 위대한 국가들은 뛰어난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오랫동안 전장에서 주력을 담담한 것은 중장보병 부대일 것이다. 공화제 로마군은 아래와 같이 중장보병을 중핵으로 한 군단을 편제하고 있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로마 투구 카시스와 양산된 로마 투구, 인테르키사식 카시스 그리스 펠타방패와 사코스 방패의 특징과 차이점 고대 로마의 부위 방어구(마니카, 그레아베) 에퀴테스 기병대 로마 시민 부유층으로 이루어진 부대 창과 케트라투스 로리카 스콰마 타 등을 사용했다. 기병은 타격에 약하기 때문에 중후한 방어구를 입는 경향이 있었다. 등 자가 아직 발명되지 않아 기승이 불안정했으므로 전장에서는 .. 2022. 1. 22.
로마 검투사들의 방어구 와 검투사 양성소, 투기장 투기장의 검투사는 어떤 방어구를 사용하였는가 기원전 3세기경 시작된 검투사 시합의 기원은 귀족 장례식에서의 의식이었다. 노예나 포로를 싸우게 하여, 흘린 피를 죽은 자에게 바쳤던 것이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로마 최고의 사슬갑옷 로리카 하마타와 마연 청동 방어구는 철 방어구에 약한가?(청동과 철의 제조법 변천, 청동과 철의 비교 고대 로마의 부위 방어구(마니카, 그레아베) 시합을 고조시키는 다채로운 장비와 연출 콜로세움에서의 싸움은 완전한 엔터테인먼트, 쇼 비즈니스화하여, 공화제 말기에는 검투사 양성소도 만들어지며 민중을 열광시켰다. 대부분의 투사는 투구 착용과 방패 소지가 허락된다. 급소인 머리를 단단히 방어하지만, 전사를 보호한 기보다 싸.. 2022. 1. 22.
고대 로마의 부위 방어구(마니카, 그레아베) 로마 병사는 왜 부위 방어구를 착용하게 되었는가 로마에서는 오랫동안 큰 방패 스쿠툼을 사용하였으며, 팔이나 다리에 방어구를 장착하는 습관이 없었다. 그러던 것이 어떤 전쟁을 통해 일변하게 된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고대 그리스 투구 와 방어구들 (+ 정강이받이) 로마 투구 카시스와 양산된 로마 투구, 인테르키사식 카시스 방어구의 기원, 원조(방어구와 원거리 무기의관계, 방어구의 발전 계기, 크로스보우) 고대 로마의 부위 방어구 2종 전통적인 로마 전사는 카시스와 로리카 갑옷이나 가슴 보호대 등 다양한 동체 방어구, 또한 시대 나 병종에 따라 다른 크고 작은 방패를 장비하였다. 예전의 일반 로마 병사는 그 이외의 부 위 방어구를 몸에 걸치지 않았다. 다만 유격대의 경전투기장의 검투사는 별개이다. 경전사.. 2022. 1. 22.
로마 투구 카시스와 양산된 로마 투구, 인테르키사식 카시스 로마 투구 카시스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 사용된 로마 투구는 그 총칭을 카시스 또는 갈레이라 한다. 지방이나 시대마다 많은 종류가 있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로마시대 여러 방패와 장신구들(클리페우스, 소마테마스, 시그니페르) 고대 로마 갑옷의 종류와 특징 (펙토랄레, 로리카, 로리카 라멜라, 로리카 스콰마타) 그리스 시대 갑옷 종류와 투구(기원전 8세기 청동갑옷과 투구) 각 도시에서 양산된 로마 투구 최초의 로마 투구는 크리스 투구의 영향이 강한 '에트루리아 코린트식'으로서 깊은 양동이형이었다. 그 밖에도 몇 가지 계통이 있었으나, 제정 시대에 이르기까지 로마와 관계가 깊던 켈트 민족이 애용한 사발형 투구가 주류가 되어간다. 그 '몬테포르티노식 투구 는 그리스 투구보다 경량으로 더위에 .. 2022. 1. 22.
로마시대 여러 방패와 장신구들(클리페우스, 소마테마스, 시그니페르) 큰 방패 이외의 로마 방패와 장신구에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스쿠툼은 본래 중장보병용 큰 방패로서, 중장보병대가 쇠퇴한 후에도 사용되었는데, 로마에는 그 밖의 병종을 위한 방패도 있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로마 최고의 사슬갑옷 로리카 하마타와 마연 팔랑크스로 유명한 그리스 방패(+ 아스피스와 호플론, 카르타고의 방패)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인 방어구 로마 중장보병대의 방패 스쿠툼의 특징과 용도 로마의 다양한 방패 '클라페우스 또는 '소마테마스'라 불리는 청동 원형 방패는 기원전 8세기경 그리스로 터 들어왔다. 지름 90-100cm 무게 2~3kg이다. 그리스의 아스피스와 비슷하지만, 표면에 소용돌이형 무늬가 그려져 있어 느낌이 약간 다르다. 이것은 고가였기 때문에 그리 많이 보급되지는 않았다. 기원전 1.. 2022. 1. 21.
로마 중장보병대의 방패 스쿠툼의 특징과 용도 스쿠툼은 로마를 지탱한 방패였는가 로마에서는 밀집 중장보병대가 큰 방패로 몸을 보호하며 진군하여 적을 몰아내는 전법을 개 용한 시기가 있었다. 그 활약은 스쿠툼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고대 그리스 투구 와 방어구들 (+ 정강이받이)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인 방어구 고대 로마 갑옷의 종류와 특징 (펙토랄 레, 로리카, 로리카 라멜라, 로리카 스콰마타) 스케일 아머와 라멜라의 차이점 (중세갑옷 차이점) 그리스에서 로마로 계승된 큰 방패 로마의 중장보병은 기원전 9~기원전 3세기까지 활약하였는데, 전성기는 기원전 6세기 경으로 여겨지며 병사들은 라틴어로 방패'를 뜻하는 스쿠툼을 사용하였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세로 100-120cm 가로 60~80cm의 직사각 방패이다. 무게 는.. 2022. 1. 20.
로마 최고의 사슬갑옷 로리카 하마타와 마연 로리카 하마타는 최고의 사슬 갑옷이었는가 체인 메일은 고대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 세계에서 사랑받은 방어구인데, 로리카 하마타는 중세의 체인 메일보다도 품질이 좋았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고대 그리스 투구 와 방어구들 (+ 정강이받이)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인 방어구 고대 로마 갑옷의 종류와 특징 (펙토랄 레, 로리카, 로리카 라멜라, 로리카 스콰마타) 중세에는 잃어버린 고도의 제조 기술 제인 메일은 기원전 2세기 시점이면 지중해 전역에 보급되지만, 처음 로마에서는 값이 비싸 유복한 시민병밖에 입지 못했다. 이것이 나중에는 보병에 대한 지급품이 되고, 제정 로마 후기에는 기병의 장비품이 되었다. 로마에서 사용된 티셔츠형 체인 메일 결정판을 로리카 하마타라고 한다. 총 부품 수는 수만 개 이상에 달하는데.. 2022. 1. 20.
고대 로마 갑옷의 종류와 특징 (펙토랄레, 로리카, 로리카 라멜라, 로리카 스콰마타) 로마에는 어떤 갑옷이 있었는가 로마의 방어구 대부분은 주변 여러 나라의 문화를 이어받은 것이다. 특히 에트루리아와 그리 스로부터 많은 장비와 전법을 수입하였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로마 갑옷 로리카 세그멘타타, 조립식 갑옷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인 방어구 청동 방어구는 철 방어구에 약한가?(청동과 철의 제조법 변천, 청동과 철의 비교 로리카 세그멘타타 이외의 여러 가지 갑옷 초기 로마 시대, 전장으로 향하는 시민들은 집에 대대로 전해지던 브레스트 플레이트를 착용했다. 목에 내걸 뿐인 조악하고 원시적인 흉갑에 즉석 방어구를 더해 몸을 보호한 것 이다. 그 명맥을 이은 '펙토랄레'는 중장보병에게 사랑받던 브레스트 플레이트로서, 사방 22cm 크기의 청동판이다. 그밖에 판을 3장으로 한 유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 2022. 1. 20.
로마 갑옷 로리카 세그멘타타, 조립식 갑옷 로마 갑옷의 결정판 로마의 재정 시대를 떠받친 고성능 동체 갑옷이 존재했다. 그것은 수세기나 뒤에 등장하는 중세 유럽의 방어구보다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그리스 펠타방패와 사코스 방패의 특징과 차이점 철은 왜 최강의 소재가 됬을까? (강철 단조 방어구, 제철 기술의 진화) 체인 메일이란? + 중세 기사를 떠받친 방어구 로리카 세그멘타타 1세기에서 2세기에 걸쳐 최전성기의 로마 제국군에서 채용된 판금 갑옷이 로리카 세그 멘타타 이다. 수많은 로마 갑옷 중에서도 최고봉에 위치한 갑옷으로 그 구조가 독특하다. '조립식 갑옷'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몸통 부분은 길고 가느다란 철판 조각 여러 장을 구부려 가죽끈으로 접합한 구조로서, 마치 사람의 몸통을 감싸는 외골격 같다. 그 무게는.. 2022.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