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9

진나라 전차 마부의 가장 좋은 갑옷 진나라에서는 전차의 마부가 가장 좋은 갑옷을 입었는가 청동과철기가 일반화될 무렵의 중국에서 어떤 형태의 방어구가 사용되었는지 아는데 진나라의 병마용은 최적의 사료이다. 진나라의 당시 모습을 전해주는 도자기 인형 주 시대가 절정기였다. 당시의 유적에서는 가죽 안감에 청동 갑편을 꿰맨 앞치마형 흉 청동 방어구가 활발히 만들어진 것은 기원전 11-기원전 8세기 전국시경으로서 감, 난각형 청동 주가 출토되고 있다. 그리고 철제 방어구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기원전 3세기 전국시대이다. 전국 시대의 군단은 전차를 모는 지휘관이 통솔하며, 지휘관은 부대의 선두에 서는 것이 관례였다. 그래서 최강의 장비가 주어졌다. 하반신은 전차에 가려지지만, 상반신과 머리는 노출되므로 견고한 방어구로 방호했던 것이다. .. 2022. 2. 7.
중국 갑옷 혁갑이란 무엇일까? 혁갑이란? 갑옷뿐만 아니라 투구나 손 보호구 등 부위 방어구의 재료로 가죽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럭저럭 방호력이 있고 보다 가공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무인의 계급을 불문하고 사랑받은 혁갑 전 시대를 통틀어 중국에서는 소가죽 가죽 방어구의 주된 재료였다. 서방에서는 낙타, 남방에서는 코끼리, 동쪽 연안부에서는 상어 가죽도 쓰였다. 일찍이 코뿔소 가죽이 애용되 었으나, 7세기 이후 입수가 곤란해졌다고 한다. 중국 지역의 독자적인 고안점으로는 옷을 들 수 있다. 일본의 갑옷도 그렇지만, 옷으로 가죽과 나무, 금속 등의 소재를 코팅함으로써 방어구의 강도를 높여 오래 쓸 수 있게 하였다. 가죽 갑옷의 총칭을 '갑'이라고 한다. 금속 갑옷도 예로부터 존재하였으나, 갑은 가볍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17세기.. 2022. 2. 7.
중국의 방어구 발전 과정 (원시적인 적층 갑옷에서 라멜라로) 중국의 방어구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대략적으로 중국에서는 갑옷을 개갑, 갑, 투구를 주라고 부른다. 개갑과 주는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순조롭게 진화를 이룬 중국의 방어구 중국의 고대 인류가 가죽으로 의복을 제작한 것이 약 1만 8000년 전으로 여겨지며, 그 후에 방어구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사기 등 고문서의 기록에 따르면 세계의 선사 문명 지역과 마찬가지로 수천 년 전 부터 가죽과 청동 방어구는 존재하고 있었다. 전설 속의 왕과 마신이 방어구를 발명했다고 전해지기는 하지만, 중국에서는 신석기 시대 이후 곧바로 금속 가공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 하여 서양보다 우수한 소재의 방어구가 제작되어왔다. 고고학적 증거로서 기원전 17세기 후기의 유적에서 '갑'의 잔해와 청동 주가.. 2022. 2. 7.
일본 여성 무사의 갑주(다테가, 이이가, 사나다가, 곤이토스소스가케오도시도마루) 여성 무사의 갑주는 실재하였는가 평화로운 시대에는 자녀나 여자용 주도 만들어졌다. 서양에도 같은 의도로 제작된 유아용 플레이트 아머가 존재한다. 현실 세계의 무용담 먼저 현실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다이묘의 딸을 위하여 주문 제작된 갑주는 현존한다.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서나 혼수품으로 마련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테면 다테가에서는 아내를 맞아들이는 기념으로서 다테모노 없는 검은 갑주를 사나다에서는 여성 전 일륜투구와 어린감을 이이가에서는 야치요히메를 위해 귀여운 댄쓰키마 에다테가 달린 붉은 갑옷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장식 갑주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정말로 무기를 싸운 여성 무사의 갑옷이란 존재하는 것일까. 에히메현 오야마쓰미 신사에는 이요 현재의 예비역 수군 일족의 쓰루히메 가 오미시마.. 2022. 2. 7.
일본의 아시가루가 쓰던 무장(칼, 갑옷) 아시가루는 어떤 장비를 하고 있었는가 헤이언 시대 이후의 병률은 스스로 마련한 장비나 무장(武將)이 준비한 간이 갑옷 등을 착용 하고 천장에 나갔다. 엉성한 장비이기는 해도 만만치 않은 상대였던 듯하다. 산야에서의 게릴라전기마대를 습격하는 노부시 무로마치 시대(14세기 중반 무렵 한 부대는 기마무사 60기+도보 무사 50명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이 시대에는 도보전 - 백병전으로 이행되었으나, 그래도 사상자의 2/3-3/4 은 화살에 의해 발생하였다. 경장 보병 · 명이 부시 본래 산야에 숨어 패잔병을 약탈하던 무장 농민단하였으나, 다이묘가 이들을 조직하며 추격 등에 이용하게 된다. 구릉이나 민가의 지붕에 숨어 기마대를 기습하는 것이 정석이었다. 15세기 들어 창 부대가 편제되어 기마대와 충돌하게 된다. .. 2022. 2. 7.
멘구와 소멘, 하이다테, 한쓰부리, 와키아테 멘구나 그 밖의 고구소쿠 습도가 높은 탓인지 일본에서는 풀 페이스 투구가 유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얼굴을 보호할 필요는 있었으므로 우선 무로마치 시대에 멘구가 보급되었다. 투구의 보조품이나 대용품이 되는 멘구 대부분의 연구는 철이나 가족, 또는 층층이 쌓은 소가죽을 아교로 굳힌 네리카와는 재질로 만들어졌다. 거기에 추가로 옻칠하여 보호 강화한다. 종류는 몇 가지가 있는 데, '한쓰부리는 뺨과 이마를 보호하는 고구소쿠이다. 병사용이지만, 무장이 투구 속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히타이아테'는 이마만을 보호하는 장갑머리띠이다. 얼굴 전체를 덮고 목 언저리까지 보호하는 것이 또는 '으로, 철면에 옷을 칠해 마감한 뒤, 금속으로 된 이 등 위압적인 장식을 달기도 하였다 얼굴 하반부에서 목까지 보호하는 것은 .. 2022. 2. 7.
일본 부위방어구 고구소쿠(고테와 스네아테) 부위 방어구 고구소쿠란 갑주를 제외한 방어구의 총칭이다. 구소쿠라고 하면 도서이구소쿠의 약칭이지만, 고구소쿠의 구소쿠는 전혀 의미가 다른 단어이다. 팔과 다리 방어구 -고테와 스네아테 고구소(小)라는 표현은 상당히 옛날부터 사용되어왔지만, 헤이안에서 가마쿠라 시대의 부위 방어구다. 이 시대에 일본 갑옷은 완성의 영역에 이르렀는데, 고 구소쿠도 마찬가지였다. 고테에는 '손을 넣고 싼다'는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는 양손에 끼우나, 가마쿠라 중기-후기까지의 키마 무사는 고테를 왼손에만 장비하였다. 이것을 '가타고테'라고 한다. 활을 쏠 때는 왼손을 앞으로 내밀고 오른손으로 시위를 당긴다. 좌반신이 앞에 오는 자세가 되기 때문에 오른손에 고테를 착용하면 불편했던 것이 다. 이런 습관은 물론 도보전의 시대가 .. 2022. 2. 7.
일본의 다양한 투구 장식들 투구 장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다테모노린 투구 장식의 총칭이다. 전국 시대 전후부터 장착 위치에 따라 마에다테 이와키다테 우시로다테 등 종류가 늘었다. 마에다테와 와키다테, 그리고 쓰키모노 투구 장식은 가마쿠라 시대에 보급된 호시카부토에서부터 활발해졌는데, 처음에는 단순 한 V자형 금속판 '구와가타였다. 나중에는 중앙에 김 모양을 덧붙인 미쓰쿠와가타가 유행한다. 집단 백병전으로 이행하기 이전 시대에는 일반 무사가 투구를 화려하게 꾸밀 필요가 없었고, 본래는 무사단의 리더만이 다는 표지였다. 그 후 집단전으로 이행되고 혼란스러운 세상 속에서 하극상이 당연해지자 누구나가 투구에 구와가타를 달게 되었다. 그리고 전국 시대에는 가와리카부토가 증가한 만큼 취향을 살린 마에다테도 나타나게 된다. 구와가타는 고정된..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