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9

무주택자가 1주택을 취득한 경우 취득세, 무주택자가 1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의 세금 장점 무주택자가 1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의 세무상 쟁점 무주택자는 최근 개정된 취득세 중과세를 적용받을 이유가 없다. 다만, 무주택 상태라고 하더라도 주택의 취득 시점에 분양권이나 입 추권, 오피스텔 등을 2020년 8월 12일 이후에 취득해 보유하고 있다 면 주택 수가 증가하여 첫 주택을 취득하더라도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이들은 주택 취득가액의 1~3% 상당액을 취득세로 낸다. 취득 당시 가액이 6억 원 이하인 주택 : 1% 취득 당시 가액이 6억 원을 초과하고 9억 원 이하인 주택 :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 세율. 이 경우 소수점 이하 다섯째 자리에 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계산한다. 취득 당시 가액이 9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 : 3% 예를 들어 주택 취득가액이 8.. 2022. 2. 10.
취득세 중과세 적용범위 확인방법(취득세 일반세율, 중과세율, 개정 지방교육세 세율) 취득세는 일반세율과 중과세율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일반세율은 아래와 같다. 취득세 일반세율 구분 세율 비고 취득가액 6억 원 이하 1% 농특세 : 전용면적 85m² 초과시 : 0.2% 지방교육세 : 취득세율×1/2x20% 6억~9억 원 이하 산식으로 계산함 9억 원 초과 3%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주택을 취득한 경우 총 취득세율은 아래와 같다. 이 주택은 전용면적 85㎡를 초과한다고 하자. 취득세율 : 3% 농특세율: 0.2% 지방교육세율 : 0.3%(3%×1/2×20%) 계 : 3.5% 따라서 10억 원짜리를 취득하면 총 취득세는 3,500만 원이 된다. 취득세 중과세율 취득세 중과세율은 취득한 주택이 2주택 이상인 경우 일반세율의 2~3배 이상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세율은 취득한 주택이 .. 2022. 2. 10.
보디아머, 방탄복에 신소재활용하기 보디 아머는 현대의 전사 갑옷? 과학기술의 쇄신으로 나타난 신소재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고성능 방어구가 탄생하였다. 인류가 싸움을 계속하는 한 방어구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부활을 이룬 동체 갑옷과 대형 방패 요즘 방탄복에는 합성수지인 케블라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빛에 의해 변질 열화되고 만다. 5년 정도면 방탄 효과를 잃기 때문에 경찰 등에서는 3년마다 신품으로 교환하고 있다. 또한 물에 젖어도 열화된다. 방수 처리도 가능하지만 그러면 이번에는 통기성을 잃는다. 그리고 피탄당한 경우에도 방탄 효과가 저하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로세로 5cm 크기의 면을 못쓰게 된다. 군대에서 보디 아머는 우선 돌격병과 전차병에게 지급되고, 다음으로 엘리트 부대인 공 수부대원과 해병대원에게 배포되었다. 구체적 예시를 들자면.. 2022. 2. 8.
방탄조끼의 원리와 신뢰도(영국 전차병의 마스크, 방탄복의 구조, 특수 부대의 보디 아머) 방탄조끼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소총탄을 사용하는 기관총과 돌격소총은 최강 수준의 개인화기지만, 현대의 보디 아머는 그 것조차 막아낼 수 있다. 폭발과 파편, 총탄을 막으려면 방탄이라기보다 폭발과 포탄 파편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구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각국 군대의 일부에서 채용되었다. 현대의 군대나 경찰의 폭발물 처리 반이 장비하는 전신 방어구도 기본적으로는 같은 것이다. 이를테면 제1차 세계대전 때 사상 최초로 전차를 투입한 영국에서는 전차병을 보호하는 장비가 고안되었다. 공격을 받은 전차 내부에서는 충격으로 떨어져 나온 쇳조각이 이리저 리 튀면서 전차병이 부상당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 당시 채용되고 있던 MK1 헬멧과 사슬 갑옷 달린 강철 마스크를 장비한 것이다... 2022. 2. 8.
중국 종이갑옷(지갑)과 덩굴갑옷(등갑) 종이나 덩굴로 만들어진 갑옷 중국의 방어구 가운데 다른 지역에는 유례가 없는 희귀한 것이라면 종이 갑옷이 있다. 또한 나무를 엮어 만든 방어구도 아시아 특유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용성 높은 지갑과 등갑 세계적으로 드문 종이제 갑옷인 지갑은 7세기부터 보급되어 10-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7세기경의 의복은 종이로 만들기도 하였는데, 정확하게는 종이에 무명 이나 비단 등을 포갠 구조이다. 따라서 지갑은 천 갑옷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두께는 3cm로서 화살이나 탄환을 막아내는 효과가 있으며, 젖으면 그 능력이 향상된다. 의외로 유용하기는 하지만 접근전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지갑은 보병용 또는 궁병용 갑옷으로서 채용되었고, 가벼운 점을 높이 평가받아 수군에서도 쓰였다. 희귀한 갑옷이라.. 2022. 2. 7.
중국 쇄자갑(체인메일)의 진화 과정 쇄자갑은 어떻게 진화했나? 체인 메일은 세계 각지에 보급되어 있던 방어구로 중국의 사슬 갑옷은 금속 고리를 서로 연결한 것이었으며 그 후 진화 발전하였다. 쇄자갑에서 면갑으로의 발전과 갑옷 시대의 종언 서양에서 말하는 체인 메일은 7세기에 서방으로부터 전해져 '쇄자갑이라 불렀다. 17-19세기에도 널리 쓰였는데, 17세기 명대의 쇄자갑은 강자연환갑 또는 '연쇄갑'이라고 하며 소재는 강철이었다. 이어진 청대의 것은 '철갑'이라 불린다. 이것은 가슴에 호심경이 달려 급소를 보호하였다. 한편 7세기 이전에도 '한쇄개'라는 사슬 갑옷의 일종이 존재하였으나, 그다지 세상에 보급되지 않은 귀중품이었다. 또한 13세기에 중국을 침략한 몽골군은 저마다 다른 역할을 담당하는 몇 가지 기병대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일부가.. 2022. 2. 7.
중국 기병과 말이 착용하는 방어구와 마갑 중국의 기병과 말의 방어구 중국에서는 기병의 갑옷보다 먼저 말의 갑옷이 등장하였다. 마구 발명되어 기병이 기동 전력으로 인정받기 이전부터 전차가 전장을 누비고 있었기 때문이다. 전차에서 기병으로 기원전 8세기의 유적에서 말의 갑옷 '마감'이 출토되었다. 옛날에는 말과 마부로 구성된 전차가 주력이어서 말을 방호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안장과 동자의 발명을 거쳐 승마 기술이 확립한 후에 겨우 기병이 전력화되면서 3세기 경양당갑이라고도 등장한다. 이것은 5~6세기에 보급되어 수와 당대를 거쳐 13세기까지 사용된 왜 대표적인 갑옷이다. 동체 앞면과 뒷면의 두 부품으로 구성된 라멜라 판을 머리부터 뒤집어쓰듯 착용하고 허리 근처를 벨트로 묶는다. 이러면 옆구리가 텅 비게 되지만, 경장이 요구되는 기병의 숙명이었다. .. 2022. 2. 7.
통수개와 명광개 중국읠 대표하는 갑옷 중국을 대표하는 갑옷 명광개는 눈부시게 빛나는 호심이 달린 독특한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통수개와 함께 무용을 자랑하는 장수가 입기에 걸맞은 영웅적인 갑옷이다. 통수개와 명광개 중국의 갑옷이라고 하면 역시 군웅이 활약하던 삼국지(國) 시대의 것을 떠올리지 않을까. 그 무렵의 대표적인 방어구가 '통수개'와 그에 이어 등장한 '명광개'이다. 통수는 3~5세기에 주류가 된 갑옷이다. 물고기 비늘 모양 감염을 잇댄스케 일 아머로서 가장 큰 특징은 반소매가 달려 있는 점이다. 겨드랑이는 갑옷의 약점 중 하나 인데, 이 갑옷은 반소매가 달려 있어 확실히 보호된다. 제갈량이 발명했다고 전해지 지만, 사실 소매 달린 갑옷은 한나라 시대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아마도 공명이 소매 달린 갑옷의 성능을 향상시켰던 것으로 보인..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