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을통해 세상을 보다/무기 방어구 역사

풀 페이스 투구 (바렐헬름, 그레이트 헬름, 프로그마우스 헬름, 베서닛)

by 책과함께라면 2022. 1. 28.
728x90

그레이트 헬름 great helm
그레이트 헬름 great helm

바렐 헬름은 풀 페이스 투구의 대표?

  • 헬륨은 고대 게르만어의 덮는 것, 감추는 것을 어원으로 하는 투구류로서 오랫동안 기사에 게 애용되었다.
  • 프랑스에서는 옴이라고 불린다.

※ 같이 보면 좋은 글(맨위 블로그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고대 국가들의 병사들과 방어구(에퀴테스, 하스타티와 프린키페스, 트리아리아, 벨리테스, 알라)

서양의 신기한 방패들 (랜턴실드, 건실드, 듀얼링 실드)


베서닛 Bascinet
베서닛 Bascinet

바렐 헬름에서 배서닛으로

  • 11-13세기에 유행한 '바렐 헬름'은 십자군 등에서 이용된 투박한 인상을 가진 투구이다.

5~6장의 철판을 겹쳐 리벳으로 고정한 것으로서, 정수리 부분이 평평한 양동이 모양이다 이러한 초기형에서는 충격을 완전히 흡수할 수 없었으나, 이후의 포탄형에서는 방호력이 향상된다. 시야 확보용 구멍은 가로 한 줄짜리 틈으로 십자형 보강판 겸 장식이 달렸고, 입 주위에 호흡을 위한 구멍이 있다. 개인 식별을 위해 이마나 정수리에 새나 짐승 모양 장식, 가문의 문장 등을 달았다. 투구 속에 코이프를 착용하며, 평시에는 말안장에 매달아두었다.

 

14세기 들어 복각판 '그레이트 헬륨'이 마상시합에서 쓰이거나, 또는 맨엣암즈 에게 사용되었다. 이 시대의 헬름은 곡선이 많고 정수리가 뾰족하여 '슈거로프(설탕산)라고 불렸다.

 

 

 

 

무게가 7kg이나 되는 '프로그마우스 헬륨'은 15세기의 마상창시합에서 사용된 헬름의 아종으로, 정면은 밋밋하게 막혀 있어 눈을 치켜뜨고 위쪽 틈을 통해 밖을 내다본다. 시야 가 나쁘지만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프랑스에는 검도에서 쓰는 호면 같은 방식으로 시야를 확보한 시합용 투구도 있었다. 이들 헬름 투구는 모두 바이저가 없는 밀폐형이어서 시야가 나쁘고 숨 쉬기 답답하다.

튼튼해 보이지만 의외로 빈틈이 있어 취약하기도 하였다.

배서닛은 헬름에서 진화한 투구로, 13-15세기의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이용되었다. 프 랑스어 '바생 수반이 어원이며, 처음에는 바리형 투구로서 얼굴 일부가 노출되어 있었 으나 일그러진 포탄형이 주류이다. 여우 주둥이처럼 뾰족한 형태의 바이저는 위로 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 이 뾰족한 바이저를 두고 영국에서는 '하운드스컬', '피그페이스' 등의 속칭이 붙었다. 독 일에서는 '베켄하우베', '훈츠구겔' 개의 두건 등으로 불린다.
바렐 헬름 시야가 좁은 데다 숨 쉬기 답답해 실전에 적합하지 않다
그레이트 헬륨 시대가 흐르면서 시합용 투구가 되었다.
프로그마우스 헬름 '개구리 입'이라고 불리는 마상시합 용 중후한 헬름 통풍구 겸용 시야 확 보 구멍으로 눈을 치켜뜨고 내다본다. 무게 7kg
배서닛 얼굴을 가리는 뾰족한 바이저가 특징 그 밖에 가면형이나 지주(支柱)형 책 형도 있었다.

salute middle age
salute middle age

경례의 기원

  • 서양에서 처음으로 바이저를 올릴 수 있게 된 투구가 배서닛이다.
  • 무기를 들지 않은 오른손으로 바이저를 올려 상대에게 얼굴을 보여주는 동작이 기사의 인사-군대의 경 례의 기원이 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