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을통해 세상을 보다/무기 방어구 역사

일본 하라아테 갑옷과 토마루요로이

by 책과함께라면 2022. 2. 1.
728x90

일본 하라아테 갑옷과 토마루요로이
하라아테 갑옷

하라아테는 졸병용 간이 갑옷이었는가

  • 당시의 갑옷 가운데 가장 저렴한 것이 하라아테였다. 강제로 전투에 동원되는 농민 등에게는 고마운 장비였을 것이다.

 

 

 

없는 것보다는 나은 정도의 흉갑

  • '하라아테'는 가마쿠라 후기부터 등장하는 병용 장비이다.
  • 그 시대에는 전투의 모 로 무사끼리만 싸우는 것이 아니라, 농민들을 징집하여 집단으로 맞붙는 경우가 많아졌 다.
  • 공들여 만드는 다른 일본 갑주와 달리 하라아태는 상반신만을 보호하는 간이 흉갑이었다.

그 앞면에는 작은 구사즈리가 한 장 드리워져 있다. 검도에서 쓰는 몸통 호구만을 착용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등이 텅 비어 있으며 부위 방어구는 개인이 임의로 장착한 다. 전장의 시체에서 벗겨낸 투구 등을 쓰기도 했을 것이다.

 

전국 시대가 되면 가문의 문장 등을 넣은 하라아테를 양산하여 성에서 관리하다가, 아시가루와 궁병에게 지급하는 경우도 있었다. 간이 갑옷인 만큼 덧입을 수도 있어. 만약을 대비하여 무장이 갑옷 속에 입기도 하였다.

 

중세의 갑주 가운데는 오요로이와 도마루의 절충형인 '도마루요 로이'라는 것도 존재하였다. 오요로이의 전성기에 도보전을 선호하는 무사가 만들게 한 특제 갑옷이라고 일 컬어진다. 보통 4장인 구사즈리가 7장으로 나뉘어 있고 길이도 짧다. 기마 무사는 말을 탄 채 활을 쏘는 전투 스타일이므로, 오요로이의 경우 하반신을 단단히 방호하기 위해 구사즈 리를 길고 크게 만들며 장수도 적은 편이었다. 하지만 말에서 내려 싸울 때는 구사즈리를 잘게 나누지 않으면 발놀림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도마루요로이

제작된 경위나 활용 방식은 어쨌든 "오요로이의 구사즈리를 7장으로 만든것.
이러한 개조만으로도 도전 대응 갑옷으로서 쓸 수 있던 것은 분명하다.

 

도마루요로이가 만들어진 것은 때마침 겐페이 전쟁이 벌어지던 시대로, 해전이 많았다. '도보전용이라기보다 수상전용배 위에서 몸을 움직이기 쉽도록 조처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설도 있다.

참고로 에도 시대에도 도마루요로이라는 이름의 갑주가 제조되었으나, 전혀 다른 물건 이다. 평화로운 시대에 만들어진 갑옷은 디자인을 우선한 장식 갑주로서, 방어구로서의 기 능은 오히려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갑옷의 종류는 알기 힘들다

  • 현대에 남아 있는 감독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하라마키 타입이라도 도마루라 이름 붙 여자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요로이처럼 보이면서 실은 복고조(復古調) 구소쿠(具足 갑 주)일 때도 있기 때문에 전시에 부속되는 설명을 잘 읽지 않으면 혼란에 빠질 수 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맨 위 블로그 검색을 하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카이트 실드와 궁병 타지 방어구

중세시대 방어구 파비스와 버클

하라마키라는 일본 갑주 (와다카미(上), 와키이타, 무나이타, 구사즈리(草))

일본 갑옷과 방어구 변천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