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속 카페인은 수면 유도 작용을 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대신 붙어 수면 작용을 막아줍니다. 인간의 몸은 피곤할때 뇌에서 아데노신(adenosine)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을 분비합니다.
커피나 카페인을 마시면 소장을 통해 흡스되어 혈류로 전달됩니다. 카페인은 어디든 흡수가 잘되는 녀석이기에 뇌와 혈액을 구분지어주는 공간을 통과할정도로 대단한 녀석이죠.
커피속 카페인이 혈뇌장벽을 통과하여 아데노신을 대신해 아데노신 수용체에 들러붙습니다. 그러면 뇌는 졸음을 일으키는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이 방해되기때문에 뇌의 각성을 유지시킵니다.
그러나!
낮잠(nap)은 자연적으로 뇌속의 아데노신을 제거합니다. 커피를 마신 후 약 20분정도 낮잠을 자면 뇌에서 아데노신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줍니다. 아데노신이 줄어든 뇌는 좀더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합니다.
열명의 젊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커피낮잠은 낮잠과 낮잠후밝은빛에 노출, 낮잠후씻기 또는 낮잠이 아닌 것보다 컴퓨터 작업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결과에서 커피낮잠이 생산성을 향상 시킨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커피낮잠을 하는 법
1. 되도록이면 차가운 커피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커피속 카페인의 영향은 빠른시간에 작용하기때문에 되도록 카페인을 빠르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설탕, 프림, 우유가 들어간 커피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체내 대사과정에서 탄수화물 혹은 지방이 들어가게되면 소화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흡수가 빠른 상태로 먹는게 좋습니다. (아메리카노를 드세요!)
tip!
커피를 먹고 꼭 잠을 자야하는 것은 아니에요. 카페인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에 굳이 커피를 먹고 깊은 잠에 빠질 필요는 없어요! 커피를 마신후 15분에서 20분정도 조용한 공간에서 눈을 감는 것만으로도 일정량의 아데노신이 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잠을 잘수 없는 환경이라면 눈을 감고 엎드리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수 있어요!
댓글